- Home
- 학부ㅣ대학원
- 대학원
- 농생명공학부
- 식물미생물학
대학원
농생명공학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거 전통적 농업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생명공학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 식품생명공학, 동물생명공학, 응용생명화학, 식물미생물학, 곤충학의 5가지 전공으로 농생명공학부를 구성하였다.
식품생명공학은 인간에게 에너지, 영양소, 각종 기능성 생리활성 성분을 공급하는 식품에 관련하여 물리ㆍ화학적 성질, 가공과 저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동물생명공학은 기존의 전통적 동물생명 활용기술과 첨단생명과학기술이 융합된 학문분야이다.
응용생명화학은 생물자체를 생산 또는 제어하거나, 생물이 산출하는 물질이 생성되는 기초 원리를 화학 및 생물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하는 응용학문이다.
식물미생물학 전공에서는 식물의 병(원)인 미생물과 농업환경에 분포하는 미생물을 대상으로 병을 효율적으로 진단하고, 분자유전학적, 생리형태학적 병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며, 미생물독소, 식물병역학, 토양환경과 관련된 생명과학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곤충학 전공에서는 곤충 분류, 생태, 생리 연구와 곤충과 특히 농업에 있어서 해충을 제어하기 위하여 곤충병리학, 생리활성천연물, 생물농약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바이오모듈레이션(Biomodulation) 전공에서는 농생명과학, 의학, 수의학, 및 공학이 결합하여 신설된 전공으로 유전자, 세포, 생체기능 및 표현형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인류복지 증진에 필요한 생명자원 및 생명공학기술을 발굴하는 융복합연구를 하는 학문입니다.
본 학부는 세계적 선도 그룹에 진입하기 위하여 첨단 농생명공학 연구, 창의적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산학을 연계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인력 양성 체제를 구축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관련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본 학부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식품생명공학은 인간에게 에너지, 영양소, 각종 기능성 생리활성 성분을 공급하는 식품에 관련하여 물리ㆍ화학적 성질, 가공과 저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동물생명공학은 기존의 전통적 동물생명 활용기술과 첨단생명과학기술이 융합된 학문분야이다.
응용생명화학은 생물자체를 생산 또는 제어하거나, 생물이 산출하는 물질이 생성되는 기초 원리를 화학 및 생물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하는 응용학문이다.
식물미생물학 전공에서는 식물의 병(원)인 미생물과 농업환경에 분포하는 미생물을 대상으로 병을 효율적으로 진단하고, 분자유전학적, 생리형태학적 병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며, 미생물독소, 식물병역학, 토양환경과 관련된 생명과학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곤충학 전공에서는 곤충 분류, 생태, 생리 연구와 곤충과 특히 농업에 있어서 해충을 제어하기 위하여 곤충병리학, 생리활성천연물, 생물농약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바이오모듈레이션(Biomodulation) 전공에서는 농생명과학, 의학, 수의학, 및 공학이 결합하여 신설된 전공으로 유전자, 세포, 생체기능 및 표현형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인류복지 증진에 필요한 생명자원 및 생명공학기술을 발굴하는 융복합연구를 하는 학문입니다.
본 학부는 세계적 선도 그룹에 진입하기 위하여 첨단 농생명공학 연구, 창의적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산학을 연계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인력 양성 체제를 구축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관련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본 학부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 02-880-4901
생명관 6층 6107호
- 식물미생물학
- ☎ 02-880-4690
- 02-873-2317
- 생명관 5층 5108호
- HOMEPAGE
식물미생물학 전공에서는 진균, 세균, 바이러스, 선충에 의한 병의 진단, 분자유전학적·생리형태학적 발생메커니즘과 식물병역학, 미생물독소 및 토양환경관련 미생물과 자원식물보호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현재 전세계적으로 첨단 생명과학분야를 이끌고 있는 식물미생물분야의 유전체 기능 연구 및 단백질 발현 연구 그리고 식물병 예찰 시스템 개발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식물미생물학 분야는 각 세부 전공별로 곰팡이독소학, 식물병역학, 환경미생물학, 식물균학, 임상식물병리 및 선충학, 식물세균학, 식물바이러스학의 총 7개 전문 연구실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현재 전세계적으로 첨단 생명과학분야를 이끌고 있는 식물미생물분야의 유전체 기능 연구 및 단백질 발현 연구 그리고 식물병 예찰 시스템 개발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식물미생물학 분야는 각 세부 전공별로 곰팡이독소학, 식물병역학, 환경미생물학, 식물균학, 임상식물병리 및 선충학, 식물세균학, 식물바이러스학의 총 7개 전문 연구실로 이루어져 있다.
교수진
교수명 | 전공 | 연락처 | 이메일 |
---|---|---|---|
김국형 교수 | 식물바이러스학 | 02-880-4677 | kookkim@snu.ac.kr |
이용환 교수 | 식물균병학 | 02-880-4674 | yonglee@snu.ac.kr |
손호경 부교수 | 식물병생리학 | 02-880-4681 | hogongi7@snu.ac.kr |
김광형 부교수 | 식물병생태학연구실 | 02-880-4672 | sospicy77@snu.ac.kr |
이제훈 조교수 | 임상식물학병리학 | 02-880-4685 | jaehoon@snu.ac.kr |
오창식 부교수 | 식물세균병학 | 02-880-4676 | cso35@snu.ac.kr |
손기훈 부교수 | 식물면역학 | 02-880-4673 | keehoon.sohn@snu.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