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CALS소식
- 주요뉴스
주요뉴스
-
[행사] 서울대 산림과학부, 산불 피해 복구 위한 모금 행사 ‘FO:RESTORE’ 개최
2025-04-08 l 조회수 162
지난 22일을 기점으로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풍을 타고 확산되면서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가 ‘심각’ 단계까지 격상되었다. 이번 산불로 인해 산림뿐만 아니라 인근 마을까지 피해를 입었으며, 주불이 모두 진화된 30일 기준 피해 면적은 서울 면적의 80%에 해당하는 약 4만 8천 헥타르에 달했다. 주택 피해도 3천...
-
[연구] 유경록 교수 등 국제연구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조혈/면역계 변화 기전 규명
2025-03-13 l 조회수 345
서울대학교는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공학전공의 유경록 교수(공동 교신저자)와 미국립보건원(NIH),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인비씨티㈜ 등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연구팀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한 바이러스 유사체 생산 시스템 및 바이러스 감염 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확립했다”고 최근 밝혔다...
-
[연구] 태양광유도 엽록소형광 광자수율이 개체 간 경합 시 벼의 동적 변동성을 포착하다
2025-03-06 l 조회수 425
[연구필요성] 잎 각도와 재식밀도는 개체 간 경합에 관여된 주요 인자들로써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 영향은 품종과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매번 군락을 대변할 수 있을 정도의 생리학적 정보를 수집하기에는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요구되기에 개체 간 경합 과정을 이해하고 모니터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엽록...
-
[행사] 서울대 김의준 교수, 미국 서부지역학회 회장 당선 비서구권 최초 글로벌 리더 등장
2025-02-26 l 조회수 554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의 김의준 교수가 지난 2월 제66대 미국 서부지역학회(Wester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회장으로 선출되며 학계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 미국 지역학회는 도시·지역경제, 공간 분석, 지역정책, 환경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심층 연구와 실질적 정책 제언을 이끌어내는 국제 학술단체...
-
[행사] 서울대학교-안양시 관악수목원 전면개방 및 국유재산 무상양여를 위한 협약 체결
2025-02-24 l 조회수 580
□ 서울대학교, 관악수목원 국유재산 양여 및 개방을 위한 첫걸음 내디뎠다 서울대학교(총장 유홍림)는 2025년 2월 20일(목) 안양시청에서 안양시(시장 최대호)와 협약식을 체결하고, 서울대학교 관악수목원의 국유재산 양여 및 시민 개방을 위한 협력 방안을 확정했다. 이번 협약은 서울대학교 관악수목원의 상시 개방과 국유재산 ...
-
2025-01-23 l 조회수 1093
Q.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A. 안녕하세요 저는 식물생산과학부 산업인력개발학과 김동호입니다.저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 진로 및 정보학과 (Department of Career and Information Studies)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후 첨단 테크놀로지 및 AI를 활용한 ...
-
2025-01-23 l 조회수 1017
Q. 간단한 연구실 소개 부탁드립니다.A. 현재 저희 과수 및 환경생리학 연구실에서는 과수 작물의 환경 스트레스 반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특히 생산 단계, 즉 재배 시 수목이 어떻게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최적 환경을 만들어 과수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지, 온실에서 과수를 재배하면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연구하고 ...
-
2025-01-23 l 조회수 1421
Q. 안녕하세요,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소개 부탁드립니다.A.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2024년) 9월부터 농생명공학부 응용생물화학전공에 교수로 부임한 김경민입니다. 저는 토양을 통해 작물 생산과 기후 위기 극복 등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관심이 있는 토양학자입니다.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에서 학사와 석...
-
2025-01-23 l 조회수 1253
Q. 안녕하세요 교수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식물생산과학부 부교수 하정민입니다. 제 소개는 실험실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https://cgl.snu.ac.kr/Q. 작물생명과학전공과 식물유전체 연구를 선택하게 된 계기가 있으신가요? A. 무엇을 다루는지와 어떻게 다루는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연구] 패널 디지털 역량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분야 한국 기업의 기술 효율성
2025-01-06 l 조회수 445
Panel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n Companies in the Energy Sector based on Digital Capabilities [연구필요성] 에너지 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지속 가능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기업들의 역할은 점차 확대되고 있음. 그러나 디지털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에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