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대학안내
- 학장
- 인사말
인사말

우리 농업생명과학대학은
다시 한번 도약해야합니다.
다시 한번 도약해야합니다.
우리 농업생명과학대학은 ~ 다시 한번 도약해야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 강병철입니다.
우리 농업생명과학대학은 지난 120년간 식량난 극복이라는 시대적 소명에서부터 지속 가능한 농업생명산업 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핵심 동력을 창출하는 인재 양성과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습니다. 또한, 2003년 캠퍼스 이전, 2014년 평창캠퍼스 건립, 그리고 2025년 75동 건축 및 첨단 연구온실 신축을 통해 현대적이고 광범위한 교육 및 연구 인프라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 대학은 식물·동물생명공학, 바이오시스템공학, 환경생태, 식품과학 등 첨단 생명과학 분야는 물론, 농경제사회학, 지역개발 및 인적자원 분야까지 포괄하는 7개 학부, 17개 전공, 1개 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5년에는 미래 농업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선도할 스마트시스템학과를 신설하여 학문 체계를 한층 더 진화시켰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기후변화, 식량안보, 생물다양성 보존, 지속가능한 농업 시스템과 같은 글로벌 난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기후변화는 산림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탄소 중립 농축산업 기술 개발, 작물 보호 기술 개발 및 신작물 도입의 필요성을 증대시켜 농생대의 연구 영역을 확장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오늘날의 농업생명과학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을 넘어 인공지능이 결합된 AI 트랜스포메이션(AI Transformation) 시대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유전자 교정을 포함한 첨단 생명공학 기술 및 친환경 바이오 소재 기술은 농업 생산성을 혁신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돌파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학문과 기술의 발전을 적극 활용하여 우리 농생대는 미래 농업생명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선도 대학으로 다시 한번 도약해야합니다.
이러한 상황 인식 아래, 저는 'CALS for CALS'라는 슬로건 아래 우리 농업생명과학대학의 역량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한 담배한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역량 강화를 통해 한계를 넘어 거침없이 나아가고, 민첩한 운영으로 급변하는 시대에 유연하고 기민하게 대응하며, 구성원 경청으로 구성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함께 발전하고, 경청의 리더십으로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를 만들며, 전략적인 교육과 연구로 미래를 열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전 달성을 위해 저는 농업생명과학대학이 독자적인 발전을 추구하기보다는 다양한 기반을 토대로 타 단과대학과의 협업과 상생을 통해 함께 발전하고 다 같이 성장하는 데 힘쓰고자 합니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의 새로운 도전에 아낌없는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 강병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