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CALS소식
  • 주요뉴스

주요뉴스

  • [행사] 서울대학교 안양수목원, 58년 만에 시민에게 열린다 새로운 게시물

    2025-11-06 l 조회수 11

    - 비밀의 숲이 시민 품으로… 서울대·안양시 협력으로 상시 개방 서울대학교 안양수목원(이하 “수목원”)이 11월 5일(수) 오전 9시부터 상시 개방된다. 오랫동안 교육과 연구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던 수목원이 58년 만에 시민들에게 문을 여는 것이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 280에 위치한 ...

  • [연구] 농림생물자원학부 김현석 교수팀, 친환경 제설제가 가로수에 미치는 영향 규명 새로운 게시물

    2025-11-06 l 조회수 7

    [연구필요성] 도시 환경에서 가로수는 탄소 흡수, 도시 열섬 완화, 오염물 저감 등 도시의 지속 가능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기후 스트레스, 오염, 병해충 등 복합적인 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며, 그 중 겨울철 제설제 사용은 심각한 피해를 주는 요인 중 하나이다. 제설제는 일반적으로 NaCl과 CaCl2이 가장 널리 사용되...

  • [연구] 농업생명과학대학 유경록·서울아산병원 이제환 교수 공동연구팀, 나노 신소재(NGO)와 세포치료를 융합한 급성 이식편대숙주병 신규 면역치료법 개발

    2025-10-30 l 조회수 24

    [연구필요성]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은 백혈병 등 난치성 혈액질환 환자에게 중요한 치료법이지만, 심각한 합병증인 이식편대숙주병(GVHD) 때문에 치료 성과가 제한된다. 급성 GVHD는 환자의 40~50%에서 발생하며, 이식 후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1차 치료제인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가 35~60%에 달하지만, ...

  • [연구] 지역시스템공학전공 김연욱 신임교수 인터뷰

    2025-10-29 l 조회수 1514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 전공에 새로 부임한 김연욱 교수를 인터뷰해보았다. 농업 및 지역 시스템 분야가 첨단 기술과 융합하며 주목을 받는 현 시점에서 김연욱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와 영향뿐 아니라 학생들을 향한 따뜻한 조언까지 들어볼 수 있었다. 1. 소개 안녕하세요. 지역시스템공학 전공에 새로 부임하게 된 김연욱입니다....

  • [연구] 동물생명공학전공 김명후 신임교수 인터뷰

    2025-10-29 l 조회수 147

    2025년 2학기를 맞아 농생대는 다양한 전공의 신임 교수를 맞이했다. 이번 기사에서는 이번 2학기에 새롭게 부임한 동물생명공학 전공 김명후 교수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Q. 안녕하세요, 교수님.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이번 2025년 2학기 동물생명공학전공에 교수로 부임한 김...

  • [행사] 서울대학교, 관악수목원 국유재산 무상양여 및 상시 개방 최종 확정

    2025-09-23 l 조회수 2562

    서울대학교(총장 유홍림)는 기획재정부 협의를 거치고 교육부의 최종 승인을 받아 관악수목원 국유재산 무상양여를 확정 지었다. 이번 결정은 지난 2월 서울대와 안양시(시장 최대호)가 체결한 협약의 후속 조치다. 서울대는 조만간 관악수목원의 전시 구역 25ha 중 교육·연구 시설을 제외한 20ha를 시민에게 상시 개방할 계획...

  • [연구] bZIP3-AS1 복합체, 낮 길이에 따라 개화 유전자인 FT 활성 조절 규명

    2025-09-11 l 조회수 341

    [본문1] o 식물은 광주기를 감지하여 계절변화를 인지하고 적합한 계절에 개화함으로써 종족 번식을 최대화함 o 모델식물인 애기장대에서 CO (CONSTANS) 단백질에 의한 개화신호인 FT (Flowering Locus T) 유전자의 발현 유도가 장일조건에서 개화 촉진하는 핵심적인 메커니즘임 o 많은 식물체들에서 CO-FT 조절 모...

  • [행사] 서울대 박일권 교수, 2027년 아시아-태평양화학생태학회 제주 유치 성공

    2025-08-28 l 조회수 536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박일권 교수가 유치위원장으로 참여한 국제화학생태학회(ISCE)·아시아태평양화학생태학회(APACE) 공동 학술대회에서 2027년 아시아태평양화학생태학회(APACE)를 한국 제주에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8월 18일부터 22일까지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열렸다.□ 아시아태평양화학...

  • [연구] 곽선영 교수팀, 식물 캘러스 재분화 효율 향상을 위한pH 감응형 나노전달체 개발

    2025-08-20 l 조회수 558

    [연구필요성] 식물 조직배양에서 역분화된 캘러스가 다시 줄기와 잎 등 지상부 조직으로 재분화되는 과정은 유전자 편집과 품종 개량의 핵심 단계이지만, 일부 작물에서는 재분화 효율이 낮아 연구와 산업 적용에 한계가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miR396 등의 유전 장벽은 핵심 재분화 유전자(GRF)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재분화 효율...

  • [연구] 농생대 류영렬 교수팀, 도시 가로수 탄소저장 및 흡수량 탐지

    2025-08-13 l 조회수 677

    [연구필요성] 정주지는 다양한 생태계 유형 중에서도 탄소흡수 기능에 대한 정량화 된 정보가 가장 부족한 공간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도심 내 가로수는 정주지 식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지만, 비자연적으로 분포하고 복잡한 도시 구조물 사이에 위치해 있어 위성이나 항공기 기반의 기존 원격탐사 방식으로는 정확한 탐지가 어려웠다. 이...

SNU C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