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CALS소식
- 주요뉴스
주요뉴스
-
2025-01-23 l 조회수 2298
Q. 안녕하세요,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소개 부탁드립니다.A.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2024년) 9월부터 농생명공학부 응용생물화학전공에 교수로 부임한 김경민입니다. 저는 토양을 통해 작물 생산과 기후 위기 극복 등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관심이 있는 토양학자입니다.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에서 학사와 석...
-
2025-01-23 l 조회수 2076
Q. 안녕하세요 교수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식물생산과학부 부교수 하정민입니다. 제 소개는 실험실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https://cgl.snu.ac.kr/Q. 작물생명과학전공과 식물유전체 연구를 선택하게 된 계기가 있으신가요? A. 무엇을 다루는지와 어떻게 다루는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연구] 패널 디지털 역량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분야 한국 기업의 기술 효율성
2025-01-06 l 조회수 922
Panel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n Companies in the Energy Sector based on Digital Capabilities [연구필요성] 에너지 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지속 가능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기업들의 역할은 점차 확대되고 있음. 그러나 디지털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에너지 ...
-
[연구] 천연물 기반 친환경 농약 개발의 새로운 파이프라인 제시
2025-01-03 l 조회수 1406
Compositional Optimization for Miticidal Activity, Ecotoxicity, and Phytotoxicity of Rosmarinus officinalis Essential Oils as Biorational Pesticides [연구필요성]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는 국내 주요 10대 해충이며, 이들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합성 살비...
-
[연구] 서울대 최상호 교수 연구팀, 패혈증비브리오균 차세대 제어 기술 기반 구축
2024-12-30 l 조회수 1176
Genome-wide phenotypic profiling of transcription factors and identification of novel targets to control the virulence of Vibrio vulnificus [연구필요성] 치명적인 병원균인 패혈증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은 성공적인 감염을 위해 다양한 전사조절자들을 사용하여 생존 및 독성 인자의 발현을 정교하게 조절한다. ...
-
[연구] 서울대학교 양태진 교수팀, 고려인삼 유전자칩 개발 및 디지털 육종방법 제시
2024-12-18 l 조회수 1558
High-resolution genetic map and SNP chip for molecular breeding in Panax ginseng, a tetraploid medicinal plant [연구성과/기대효과]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림생물자원학부 양태진 교수팀(BK21 농림생물자원창의인재양성사업단장,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원장)은 중국그룹과 함께 인삼 최초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
-
[연구] 실크의 인공방사를 위한 생체모사 친환경 공정 개발
2024-12-16 l 조회수 1154
Development of biomimetic spinning process for artificial silk production [연구필요성] 자연의 실크 방사 과정은 매우 에너지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이라는 점에서 지속가능 사회에 요구되는 섬유 방사 과정이다. 그러나 누에가 합성하는 단백질인 실크 피브로인이 섬유로 형성되는 과정은 아직 완벽하게 밝혀지지 않아 자연의 과정...
-
[연구] 작물 역병에 대한 비기주저항성 유전자 동정기술 개발
2024-12-11 l 조회수 1452
Conserved effector families render Phytophthora species vulnerable to recognition by NLR receptors in nonhost plants [연구필요성] 식물역병균(Phytophthora 속)은 약 100종 이상이 존재하며 각 종은 다양한 주요 농작물에 역병을 일으키며 전 세계적으로 커다란 문제를 일으키고 있음(고추, 감자 및 토마토를 침해하는 ...
-
[행사] 2024년도 농업생명과학대상·학술상·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4-12-09 l 조회수 1164
농업생명과학 발전의 주역들, 제32회 상록농업생명과학대상·학술상·교육상 시상식 성료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은 11월 27일(수)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 무궁화홀에서 상록농업생명과학대상·학술상·교육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로 제 32회를 맞은 이번 시...
-
[연구] 류영렬 교수 클래리베이트 피인용 세계 상위 1% 연구자 2년연속 선정
2024-12-05 l 조회수 547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류영렬 교수가 클래리베이트(Clarivate) 에서 발표하는 Highly Cited Researcher 2024에 선정되었다.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cross-field 카테고리에서 선정되었다.□ 클래리베이트는 최근 10년 피인용횟수가 해당분야 상위 1%에 포함되는 논문들을 포함한 여러 지표를 활용하여 매년 Highly Cited Researcher를 발표한다. 서울대학교에서는 2024년 14명이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