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21l 조회수 1893
강창구 교수님 인터뷰 기사
저희 연구실은 행동생태학 연구실입니다. 그래서 행동생태학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요. 주로 곤충을 연구하고 있고 곤충 외에도 과학적 흥미가 있는 분류군도 관심을 갖고 연구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행동생태 외에 진화생태학도 흥미롭게 연구하고 있어요. 기본적으로 동물 행동의 기능 및 동물 형태의 진화 양상과 이유를 연구하는 것이 목표예요. 자연에 존재하는 종들이 다양한 형질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형질들이 어떠한 환경적·진화적 요인에 의해서 진화하였는지 비교연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주로 연구해왔던 곤충은 나비목이에요. 특히 나비의 색채가 어떤 영향으로 진화하였는지 연구하고 있어요. 나비의 애벌레나 성충이 다양한 형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의 편의성도 있어서 나비목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나비목 외에도 꽃매미도 연구했었고, 거미도 잠깐 연구했어요. 연구 대상을 미리 정해 놓고 연구하는 편은 아닌 것 같습니다.
가장 보람찼던 순간은 대학원생으로 연구를 시작하고 2년에서 3년 정도 지났을 때였던 것 같아요. 처음으로 제가 예상했던 동물의 행동을 검증할 수 있었던 시기가 있었어요. 당시 연구를 했던 것은 나비목에서, 특히 나방이 위장을 하는 특정한 행동적 메커니즘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연구했었는데, 최초로 나방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 행동에 대해서 원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서울대학교 학술림에서 나방이 예상했던 행동을 하는 것을 관찰하고 과학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이 가장 흥분되고 보람찼던 순간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주력적으로 하는 분야는 동물의 색채에 관심이 많아요. 서로 다른 종에서 왜 그런 색채들이 진화하였는지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요. 대표적인 예시를 들어보면 기본적으로 자연에서 다양한 색채를 가진 곤충들은 자신의 색채를 보호색으로 쓰는데, 보호색은 색채가 아닌 다른 보호전략들과도 관련이 꽤 깊습니다. 특히 곤충 독성과 관련이 있는데, 독성과 색채가 어떻게 공존했는지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곤충이 애벌레에서 성충으로 변태가 일어날 때 색채가 변하는데, 이 때 어떤 진화적인 요소가 색채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행동생태학 연구실이라서 행동을 보는 연구도 하고 있어요. Jumping spider라는 깡충 거미를 의태하고 있는 나비목이 있어요. 나비목의 의태가 깡충거미에게는 어떤 효과가 있는지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크게 어려웠던 점은 없었던 것 같아요. 원래 연구를 하고 싶었고, 운이 좋게도 계속 연구자로서 연구를 할 수 있는 길을 밟았어요. 박사과정으로, 연구원으로, 캐나다와 다른 대학에서도 계속적으로 원하는 연구를 해 왔기 때문에 지금까지 큰 어려움 없이 만족스럽게 연구해 왔던 것 같아요. 이야기하다 보니 아찔했던 순간이 기억 나네요. 서로 다른 곤충 종의 색채를 비교하기 위해서 박물관을 이용하려 했던 적이 있어요. 국내 박물관은 샘플이 풍부하지 않기 때문에 영국이나 미국에 있는 자연사박물관을 이용해야 했어요. 2019년도에 자연사박물관에서 샘플을 얻어야 했었는데 미리 예약을 하지 못해서 3개월 전에 전화해서 큐레이터한테 “꼭 가야한다” 말하고 허락받아서 겨우 겨우 갔었어요. 그 해에 가지 못했다면 이후에 코로나로 인해서 연구에 큰 어려움이 생겼을 거예요.
기본적으로 우리는 생명 현상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잖아요. 그런데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것은 엄처 큰 분야입니다. 그래서 학생들이 그 안 있는 다양한 테마에서, 본인이 관심있는 분야를 잘 찾아서 공부를 하길 바랍니다. 또한 흥미로운 분야가 있다면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이러한 학교 프로그램들도 활용하면 좋을 것 같네요.
원래부터 곤충에 관심이 있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곤충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들의 행동에 관심이 많았어요. 연구를 시작할 때는 곤충에 대해서 잘 몰랐지마 연구를 계속 하다보니 행동 연구애 있어서 곤충이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연구하기가 좋더라구요. 특히나 곤충은 다양성을 연구하기에 굉장히 좋은 분류군이에요. 종의 수도 많고, 형태, 행동도 특이적이면서 다양한 패턴들을 보여줍니다. 연구의 편의성, 여러 가지 종의 곤충 등의 연구에서의 장점 때문에 현재 곤충을 연구하고 있어요.